일급함수, add_maker, 함수로 함수 실행하기

Updated:

Categories:

Tags:

일급함수

  • JavaScript에서의 함수는 일급함수라고 할 수 있다. 함수를 값으로 다룰 수 있고 함수를 변수에 담을 수 있고, 변수에 담은 함수가 변수로 다뤄질 수 있다.

쉽게 생각해서 함수를 변수처럼 쓸 수 있다? 가 맞는 것 같다!

일급함수 예시

var f1 = function(a) {  return a * a; };
console.log(f1);

function f3(f) {
  return f();
} // 함수를 받는 일급함수

console.log(f3(function() {return: 10;}));
  • 순수함수가 아닌 함수들은 평가 시점에 따라 값이 바뀔 수 있다. 하지만 순수함수는 언제 어디서든 똑같은 값을 인자로 준다면 같은 값을 주기때문에 평가의 시점이 중요하지가 않다

  • 일급함수를 이용해 순수함수들을 사용하고, 순수함수들을 나누어서 만들어가는게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

add_maker

function add_maker(a) {
  return function(b) {
    return a + b; // 클로저 역할을 하고 있다
  }
}

var add10 = add_maker(10);

console.log(add10(20));


개인 공부 기록용 블로그입니다.
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!

맨 위로 이동하기

JavaScript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